본문 바로가기
식도락

밤~ 밤바바밤!! 알밤, 군밤, 찐밤, 밤티라미슈 밤 어떤밤일까요?

by ljm119 2025. 2. 17.

밤~ 밤바바밤~!! 발라버려~ㅎㅎㅎ

밤에 대해서 한번 보려고 노래를 한번

불러봤습니다.ㅎㅎ알밤, 군밤, 찐 밤, 생율, 생밤 등등;;ㅎㅎ

 

아마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 거 같은데

아시는 분은 내 나이정도?ㅎㅎ

 

어째던 각설하고! 밤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여러분은 밤을  얼마나 날고 계신가요?

우리가 흔히 알밤, 군밤, 찐 밤, 약밤, 생밤 등

그렇게만 부르는 밤들이 엄청나게 많은 종류로

나와있는 거 알고 계셨나요? 한번 알아보시죠!

 

 


1. 알밤, 군밤, 찐 밤, 생밤, 생율 (식용 밤)에 대한 설명

 

밤은 참나뭇과(Fagaceae) 밤나무(Castanea) 속에

속하는 식물의 열매로,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풍부하여 영양가가 높은 식품이다.

고소하고 달콤한 맛을 가지고 있으며,

생으로 먹거나(생율) 찌고(알밤, 찐 밤)

굽거나(군밤), 가공(알밤)하여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특징:

  • 영양성분: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B군, 비타민 C, 칼륨, 칼슘, 인, 철분 등
  • 효능: 피로 해소, 면역력 강화,
    소화 기능 개선, 혈압 조절, 항산화 효과
  • 조리법: 생밤, 군밤, 찐 밤, 밤밥,
    밤조림, 밤떡, 밤과자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

정말 많은 밤요리등 알밤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몇 달 전에 흑백요리사에서

밤 티라미수로도 엄청난 화재를 일으킨 밤!!

이번에는 밤이 언제부터 널리 먹게 되었는지

한번 알아보시죠

 


2. 알밤의 역사와 유래

고대

  • 밤은 선사시대부터 인류가
    섭취한 식물성 식품으로, 유럽,
    아시아, 북미에서 자생했다.
  • 한반도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유적에서도
    밤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밤이 오랜 기간
    식품으로 활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중세

  • 한국, 중국,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밤은 기근 시 구황작물로 활용되었으며,
    왕실 음식과 제사 음식으로도 사용되었다.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밤나무 재배가
    활발해졌으며, 밤을 이용한 다양한
    전통 음식(약식, 밤떡, 밤술 등)이 개발되었다.

현대

  • 현재 한국에서는 경상남도, 충청북도, 전라도 등의
    지역에서 품질 좋은 밤이 생산되며,
    중국, 일본, 유럽 등으로 수출되고 있다.
  • 다양한 가공식품(밤잼, 밤과자, 밤 분말 등)으로
    활용되며, 건강식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렇게 밤이 많은 유적들과 함께 발견되었는데

사실 신석기시대에는 도토리들이 더 많이 발견되고

밤은 발견된 게 많지 않다고는 하네요

그런데 정말 오래되긴 한 거 같아요^^

 

그러면~ 밤을 그냥 먹어도 좋지만

밤과 더 좋은 효과를 보는 재료들이 어떤 게

있을까요? 한번 알아봅시다~

 

 

3. 밤과 궁합이 잘 맞는 재료 (알밤, 군밤, 찐 밤, 생밤등)

식재료 효능 효과 화학 성분 한방 성분
에너지 보충,
면역력 증가
과당, 포도당,
비타민 B군
보중익기(補中益氣),
윤장통변(潤腸通便)
대추 혈액순환 개선,
피로 회복
비타민 C,
철분, 칼륨
건비(健脾),
보혈(補血)
단백질 보충,
근육 강화
이소플라본,
단백질
보간(補肝),
강장(强壯)
우유 칼슘 보충,
뼈 건강
칼슘, 단백질,
지방
자음(滋陰),
생진(生津)
닭고기 기력 회복,
원기 보충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
익기(益氣),
온중(溫中)

 

위에 재료들이 밤과 궁합이 잘 맞는다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예전부터 같이 먹던 재료들이 많이 있네요ㅎㅎ

이번에는 밤과 어떤 식재료들이 잘 맞지 않는지도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4. 밤과 궁합이 잘 맞지 않는 재료 (알밤, 군밤, 찐 밤, 생밤등)

식재료 효능 효과 화학 성분 한방 성분
돼지고기 지방 함량 높음,
소화 부담
포화지방,
단백질
기허(氣虛)
유발 가능
메밀 소화 기능
저하 가능
루틴,
식이섬유
한성(寒性) 식품,
비위(脾胃)에 부담
소화 불량
유발 가능
탄닌,
비타민 C
체내 한기 증가,
소화 장애 유발 가능
오이 찬 성질로
배탈 유발 가능
수분,
비타민 C
한성(寒性),
위장 기능 약화 가능
우렁이 소화 불량
가능
단백질,
무기질
한성(寒性)으로
인해 소화기 부담

 

역시 우리가 흔하게 접해서 같이 먹지 않는

재료들이 즐비하네요ㅎㅎㅎ 특히 

알밤과 삼겹살의 궁합은 생각만 해도

조금은 이상한 거 같아요ㅎㅎ

 

그럼 국내에서 재배되는 밤의 품종인

광주올밤(廣州早栗, '중부 7호'),
백중밤(白中栗, '장암' 계열), 산대밤(山大栗, '중부 6호'),
산성밤(山城栗, '중부 26호'), 옥광밤(玉光栗, '중부 18호'),
장위밤(長位栗), 중흥밤(中興栗, '중부 17호'), '포천 B1호'

이런 밤들이 있는데 어떤 밤인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5. 알밤 국내생산품종 비교

품종 계통명 특징 크기(mm) 당도(°Brix) 수확시기 용도 주요 생산지
광주올밤 (廣州早栗) 중부 7호 조생종, 성숙이 빠르고 껍질이 얇음 25~35 12~14 9월 중순 생밤, 군밤 경기도, 충청북도
백중밤 (白中栗) 장암 계열 중형 크기, 당도 높고 고소한 맛 30~40 13~15 9월 하순 찐밤, 군밤 충청남도, 경기도
산대밤 (山大栗) 중부 6호 크기가 크고 저장성이 좋음 35~45 9~11 10월 초 군밤, 가공용 경상북도, 충청북도
산성밤 (山城栗) 중부 26호 조직이 단단하고 쫀득한 식감 30~40 10~12 9월 말 찐밤, 밤조림 충청남도, 전라북도
옥광밤 (玉光栗) 중부 18호 고당도 품종, 부드럽고 달콤한 맛 25~35 14~16 9월 중순 생밤, 군밤, 디저트 충청북도, 전라남도
장위밤 (長位栗) - 대형 밤, 조직이 단단하며 저장성 높음 35~45 9~11 10월 초 군밤, 가공용 경기도, 충청북도
중흥밤 (中興栗) 중부 17호 크기가 균일하고 껍질이 얇음 30~40 12~14 9월 말 군밤, 찐밤 경상북도, 충청남도
포천 B1호 - 최근 개발된 품종, 당도가 높고 크기 균일 30~40 13~15 9월 중순 생밤, 군밤 경기도 포천

 

이런 종들이 국내 생산되는 품종인데

거의 대부분 옥광밤을 많이들 먹고 있다고

합니다.

 

각 품종을 요약해 보면

알밤, 군밤, 찐 밤, 생밤등 품종의 특성 요약

  • 조생종(빨리 수확되는 밤):
    • 광주올밤, 옥광밤 → 9월 중순 수확
    • 중흥밤, 백중밤 → 9월 하순 수확
  • 대형 품종(크기가 큰 밤):
    • 산대밤, 장위밤 → 35~45mm 크기
    • 저장성이 높아 장기 보관 가능
  • 고당도 품종(단맛이 강한 밤):
    • 옥광밤(14~16°Brix)
    • 백중밤(13~15°Brix)
    • 포천 B1호(13~15°Brix)
  • 가공용으로 적합한 품종:
    • 산대밤, 장위밤 → 조직이 단단하여
      밤조림, 밤가루, 가공식품으로 적합합니다.

 

이렇게 밤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한번 알아보고

재미있게 정보를 알고 먹기 위해서 공유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