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도락

속초 닭강정 ? 목포 닭강정 ? 닭강정은?

by ljm119 2025. 2. 15.

닭강정 속초 닭강정, 인천 닭강정, 목포 닭강정


닭강정 모르시는 분들은 없죠?

그중에서도 속초닭강정? 모르시는 분들도

없을 테고, 목포에도 닭강정이 유명한 곳이 있습니다.

속초 닭강정만큼 비슷한 목포 닭강정도 있네요ㅎㅎ

그럼 닭강정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닭강정이란?

닭강정은 튀긴 닭고기에 달콤하고 짭짤한 소스를

입혀 바삭하면서도 쫀득한 식감을 내는 한국식 닭 요리입니다.

일반적인 닭고기 또는 뼈 없는 닭고기를 사용하며,
겉이 눅눅해지지 않도록 조리된 후 간장, 고추장, 물엿, 설탕 등의

소스를 바르고 견과류나 깨를 뿌려 풍미를 더합니다.

일반적으로 순한 맛과 매운맛 두 가지로 제공되며,

전문적으로 파는 곳도 있으며, 길거리에서 파는곳도 있고,

고속도로 휴게소에서도 팔고 있습니다.

한식으로 분류되며 언제든지 쉽게 먹을 수가 있습니다.

돈만 있으면ㅎㅎㅎ

위키백과에서는 원형은 깐풍기였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사람도 있으나 조리법으로 보나 맛으로 보나 거리가

상당히 있는 별개의 음식이다.라고 나와있네요.

 


2. 닭강정의 유래

닭강정의 기원은 조선 후기 한과(강정)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본격적으로 알려진

것은 1970~1980년대 강원도 속초 중앙시장에서 닭강정을

판매하면서부터이며, 이후 전국적으로 퍼졌습니다.

닭강정의 ‘강정’이라는 명칭은 원래 찹쌀 반죽을 튀겨 달콤한

시럽에 버무린 전통 과자인 ‘강정’에서 따온 것으로,

바삭한 식감을 유지하려는 조리 방식이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함경도 지방에서부터 닭고기 요리가 특히 발달했다고 합니다.

닭강정 역시 함경도의 닭요리 중 하나로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과거의 함경도의 닭강정은 이름과 같이 닭으로 만들어진 강정으로

굉장히 단단한 식감이었다고 합니다.

 


 

3. 닭강정과 양념치킨 뭐가 다를까요?

구분 닭강정 양념치킨
조리 방식 튀긴 닭고기를 소스에
조려 바삭한 식감 유지
튀긴 닭고기에 양념을
바로 묻혀 촉촉한 식감
소스 간장, 물엿, 고추장,
설탕 등으로 달달하고 쫀득함
고추장 베이스에
케첩과 마늘을 더한 매콤한 맛
식감 바삭하면서도
쫀득함
부드럽고 촉촉함
유래 한과 강정에서 유래 1970년대 한국식
프라이드치킨 변형
보관성 식어도 바삭함이
유지됨
시간이 지나면
눅눅해짐
대표 지역 강원도 속초, 인천, 목포?ㅎㅎ 전국적으로 유명

 

목포?닭강정ㅎㅎ


4. 닭강정의 평균 영양성분은 어떻게 될까요?

영양소 평균 함량
열량 약 250~300kcal
단백질 약 15~20g
탄수화물 약 30~40g (소스 포함)
지방 약 10~15g
나트륨 약 500~700mg

 

모든 닭강정이 위와 같지는 않지만

구분에 따라 사양에 따라서 천차만별이겠지만

평균적인 수치는 비슷비슷합니다.

 

 

5. 닭강정이 전국적으로 유명한 곳은?

 

가장 유명한 곳으로 꼽히는 속초 닭강정

속초 닭강정은 속초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모두가 다 먹어본다는 그 닭강정이네요

저도 속초 가봤을 때 먹어보고 택배로도 먹어봤어요ㅎㅎ

 

두 번째는 인천 신포시장 닭강정이라고 합니다.

인천 닭강정은 아직 못 먹어봤지만 인천을 가게 되면

인천 닭강정 한번 먹어보고 싶어요

속초 닭강정과는 어떻게 다를지 궁금하기도 하고요

 

세 번째는 목포 닭강정입니다.ㅎㅎ 목포에도 두 곳만큼

유명한 닭강정이 있습니다. 아침에 예약하지

않으면 금방 동이 나서 먹지 못하는 목포 닭강정

속초 닭강정과, 인천 닭강정과 목포 닭강정

어떻게 다를지 다 먹어보고 비교해보고 싶네요

ㅎㅎㅎ

 

 

먹어보면 닭강정과 양념치킨의 맛은

정말 다른 것을 알 수 있을 거예요~

닭강정은 식어서 먹어도 맛있고

어떤 곳은 식어야지 더 맛있다고 하는 곳도

데우지 말라는 곳도 있습니다.

여기 말고도 맛있는 닭강정이 있는 곳을

알고 계시면 댓글 달아주셔도 좋고요~ㅎㅎ

그럼 참고해서 그 지역 방문 시 먹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