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도락

홍어, 가오리, 간재미, 뭐가 뭔지 모르겠죠? 한방에 정리!

by ljm119 2025. 2. 19.

홍어, 가오리, 간재미라고 불리는 생선

많이들 드셔보셨나요?ㅎㅎ

귀여운 모습과 달리 맛은 기가막혀있는

코를 뻥 뚤어주는 홍어과 생선들

뭐가 뭔지 모르게 드시고 계실텐데

저도 먹으면서도 잘 모르겠더라구요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생선중에

길고 긴  꼬리가 있고 전체적으로 오각형

모양으로  위 또는 아래가 넓은 생선을

홍어, 가오리, 간재미 등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생김새 & 맛이 거의 비슷해서 보통사람들이

해당 어종을 구분하기 정말 어려운것 같습니다.

 

겉모습이 너무나 닮아서 이기도 하지만

홍어, 가오리, 간재미를 실제로 본적이 거의 없기에

넙적한 어종이라는 것만 알지 세부적으로

기억하지 못하고 있어서인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조금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ㅎㅎㅎ

 

1. 홍어, 가오리, 간재미 특징별 분류

어종 분류 특징 향/냄새 활용
홍어 홍어과 비싸고 살이 두꺼움, 삭히면 강한 암모니아 향 강함 회, 삼합, 찜, 탕
참홍어 홍어목 가오리과 홍어와 유사하지만 홍어목 가오리과에 속하지만
흑산도에서 나온종을 참홍어로 분류
살이 찰지고 부드러움
강함 회, 삼합, 찜, 탕
가오리 가오리과 납작하고 크며 꼬리에 독가시가 있는 종도 있음 중간 찜, 무침, 구이
간재미 참가오리과 작고 얇으며 식감이 부드러움 약함 무침, 찜, 구이

 

어떤가요 바로 알아볼수있으신가요?

아직 잘 모르시겠다고요?그럼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회나, 삭히거나, 삼합으로 나온다? : 홍어

찜, 또는 구이로 나온다? : 가오리

무침으로 나온다? : 간재미

ㅎㅎㅎㅎ어때요 참 쉽죠?

 

조금은 이해가기 편하시죠?

홍어, 가오리, 간재미 특징별로 다르기는 합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흔히 간재미라고 부르는 생선은 충청도와 전라도에서만

그렇게 부른다고 하네요?ㅎㅎ 또 간재미와 상어가오리의

어종을 국립수산 과학원에서 분석한 결과 동일하고,

홍어도 동일하다고 하네요 조금씩 사는곳과

먹는게 달라서 다른게 아닐까 싶습니다.

 

 

그럼 정확하게 세부적으로 한번 봐볼까요?


1. 홍어 (북방홍어, Rajiformes Rajidae)

  • 학명: Okamejei kenojei
  • 특징:
    • 보통 말하는 "홍어"는 북방홍어를 의미함.
    • 몸 전체가 붉은빛을 띠며, 크기가 크고 두껍다.
    • 삭혀 먹을 때 강한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것으로 유명함.
    • 가격이 비싸고, 전통적으로 전라남도 특히 흑산도산이 유명함.
    • 회, 삼합(홍어+보쌈+묵은지), 찜, 탕 등의 요리로 활용됨.
    • 2000년대 이후 남획으로 인해 자연산 홍어는 귀해졌고, 대부분 칠레산을 수입해 유통함.

홍어회

2. 가오리 (가오리목 가오리과)

  • 학명: Dasyatidae (여러 종이 존재)
  • 특징:
    • 흔히 "홍어"와 혼동되는 대표적인 생선.
    • 일반적으로 홍어보다 크기가 크고 납작하며, 꼬리에 독가시가 있는 종도 있음.
    • 삭혀 먹으면 홍어보다 냄새가 덜하지만, 홍어 대용으로 많이 사용됨.
    • 가오리찜, 가오리무침, 구이, 튀김 등에 활용됨.

가오리찜

3.간재미 (참가오리, Raja kenojei)

  • 특징:
    • 가오리의 한 종류로, 크기가 작고 얇으며 식감이 부드러움.
    • 홍어보다 연하고 부드러운 살을 가짐.
    • 암모니아 냄새가 적어 삭히지 않고도 생으로 먹기 쉬움.
    • 보통 무침, 찜, 탕, 구이로 요리되며, **"간재미 무침"**이 특히 유명함.
    •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대중적인 요리에 많이 쓰임.

 

간재미 무침

 

 

사진과 내용으로 보시면 조금더 이해가 편하실거에요~

 

 

그럼 다음에 또 올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