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도락

꼬막, 참꼬막, 피꼬막 뭐가 다른건지 아시나요? 피꼬막의 피는 먹어도 되나요?

by ljm119 2025. 3. 12.

 

꼬막(참꼬막)
피꼬막

 

1. 꼬막이란?

(1) 학명 및 분류

  • 학명: Tegillarca granosa
  • 속명: Tegillarca
  • 과명: Arcidae(꼬막과)
  • 흔히 ‘참꼬막’이라고 불리며, 한국에서는 주로 ‘꼬막’이라고 하면 이 종류를 가리킵니다.

(2) 서식지 및 특징

  • 한국의 서해 및 남해 갯벌(전남 벌교, 고흥, 강진, 완도, 여수 등)**에서 서식합니다.
  • 수심 10~30m의 갯벌이나 개펄에서 자라며, 바닷물과 민물이 섞이는 기수역(汽水域)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 껍데기는 타원형이며 진한 갈색에서 검은색을 띠며, 표면에는 뚜렷한 골이 있습니다..

(3) 생김새와 맛

  • 크기: 약 4~6cm 정도로 비교적 작습니다..
  • 색깔: 껍질이 어두운 갈색~검은색을 띠고, 속살은 연한 회색빛을 띄고 있습니다.
  • 식감: 부드럽고 쫄깃하며 담백한 맛이 특징입니다..

(4) 영양 성분

  • 단백질, 철분, 칼슘, 타우린, 비타민 B군이 풍부합니다.
  • 특히 철분이 풍부하여 빈혈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5) 주요 효능

  • 간 기능 개선: 타우린 성분이 풍부하여 간 해독 작용이 뛰어납니다.
  • 빈혈 예방: 철분 함량이 높아 혈액 생성에 도움이 됩니다.
  • 피로 해소: 아미노산과 비타민 B군이 풍부하여 에너지 대사 촉진을 시킵니다.

2. 피꼬막이란?

(1) 학명 및 분류

  • 학명: Anadara broughtonii
  • 속명: Anadara
  • 과명: Arcidae(꼬막과)
  • ‘피조개’라고도 불리며, 꼬막과 같은 계통이지만 다른 종입니다.

(2) 서식지 및 특징

  • 꼬막과 같은 지역(전남 벌교, 고흥, 여수 등)의 수심 20~40m 모래펄 지역에서 서식합니다.
  • 꼬막보다 깊은 바닷속에서 자라며, 서해보다는 남해안 및 일본 근해에서 많이 잡힙니다.

(3) 생김새와 맛

  • 크기: 꼬막보다 크며, 약 5~8cm 정도.
  • 색깔: 껍질이 붉은 갈색을 띠며, 속살도 붉은빛을 띠고 있습니다.
  • 식감: 꼬막보다 단단하고 쫄깃하며, 맛이 진합니다.

(4) 영양 성분

  • 꼬막보다 철분과 단백질 함량이 더 높습니다.
  • 붉은 속살에는 미오글로빈(myoglobin)과 철분이 풍부하여, 선홍빛을 띠고 있습니다.
  • 타우린, 아연, 칼슘, 마그네슘 등이 풍부합니다.

(5) 주요 효능

  • 철분 보충: 미오글로빈과 철분이 풍부하여 빈혈 예방에 더욱 효과적.
  • 피부 건강: 아연과 비타민 B2가 풍부하여 피부 재생과 면역력 강화.
  • 간 보호: 타우린 함량이 높아 알코올 해독과 간 기능 강화에 효과적.

3. 꼬막 vs. 피꼬막 비교 정리

항목 꼬막(참꼬막) 피꼬막
학명 Tegillarca granosa Anadara broughtonii
서식지 서해 및 남해 갯벌 (수심 10~30m) 남해 연안 (수심 20~40m)
껍데기 색깔 검은 갈색~진한 갈색 붉은 갈색
속살 색깔 연한 회색 붉은빛
크기 약 4~6cm (작음) 약 5~8cm (큼)
식감 부드럽고 담백함 단단하고 쫄깃함
은은하고 담백한 감칠맛 진하고 고소한 맛
철분 함량 높음 매우 높음 (미오글로빈 다량 함유)
주요 성분 단백질, 철분, 타우린, 비타민 B군 단백질, 철분, 미오글로빈, 타우린
주요 효능 빈혈 예방, 간 기능 강화, 피로 회복 빈혈 예방, 피부 건강, 간 보호
국내 주요 생산지 전남 벌교, 고흥, 여수, 강진 전남 벌교, 고흥, 남해안

4. 꼬막과 피꼬막을 활용한 요리

요리 재료 특징
꼬막무침 꼬막, 양념장(고추장, 간장, 마늘 등) 새콤달콤한 맛과 쫄깃한 식감
꼬막비빔밥 꼬막, 밥, 나물, 고추장 양념 고소한 감칠맛이 특징
꼬막찜 꼬막, 간장, 청양고추 담백하면서 짭짤한 감칠맛
꼬막탕 꼬막, 무, 미나리, 된장 개운한 국물 맛이 일품
피꼬막 숙회 피꼬막, 초고추장 단맛과 감칠맛이 뛰어남
피꼬막 장조림 피꼬막, 간장, 마늘 짭짤한 맛이 밥반찬으로 적합

 

5. 꼬막과 피꼬막의 영양성분 비교

구분 영양성분(100g기준) 주요효능 재배지 시기
꼬막 단백질 12g, 지방 1g, 탄수화물 3g, 철분 24mg, 칼슘 50mg 빈혈 예방, 피로 회복, 간 기능 개선 전라남도 벌교, 고흥 등 11월~3월
피꼬막 단백질 14g, 지방 1.5g, 탄수화물 4g, 철분 30mg, 칼슘 60mg 빈혈 예방, 피로 회복, 간 기능 개선 전라남도 벌교, 고흥 등 11월~3월

 

6. 꼬막, 피꼬막과 함께 섭취하면 좋은 음식 및 재료

음식 성분 설명
마늘 알리신 성분이 있어 면역력 증진에 도움
생강 진저롤 성분이 있어 소화 촉진 및 항염 효과
부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피로 회복에 도움
레몬 비타민 C가 풍부하여 철분 흡수율 증가
알리신 성분이 있어 항균 및 소화 촉진 효과
고추 캡사이신 성분이 있어 신진대사 촉진
미나리 해독 작용 및 혈액 순환 개선
소화 효소가 풍부하여 소화 촉진
참기름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여 콜레스테롤 개선
칼슘과 철분이 풍부하여 영양 보충

 

7. 꼬막, 피꼬막과 함께 섭취를 피해야 할 음식 및 재료

음식 성분 설명
알코올 단백질 소화를 방해하고 간에 부담을 줄 수 있음
탄산음료 소화 장애를 유발할 수 있음
너무 짠 음식 나트륨 과다 섭취로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음
너무 매운 음식 위 점막을 자극하여 소화 불량을 유발할 수 있음
고지방 음식 소화에 부담을 줄 수 있음
시금치 옥살산이 칼슘 흡수를 방해할 수 있음
대추 철분 흡수를 방해할 수 있음
커피 철분 흡수를 방해할 수 있음
강한 향신료 조개의 섬세한 맛을 덮을 수 있음
과도한 설탕 소화에 부담을 줄 수 있음

 

보시면 아시겠지만 알코올은 같이 먹으면 안 좋아요~!

한 번씩 피꼬막에 알코올(소주) 넣어서 드시는 분들은 또는

피꼬막 피에 소주잔에 넣어서 드시는 분들은 별 효과가 없으니 참고하세요!!! X 1000000000

 

8. 꼬막과 피꼬막의 선택법 및 보관법

(1) 좋은 꼬막과 피꼬막을 고르는 법

껍데기가 단단하고 무게감이 있는 것
껍데기 표면이 깨끗하고 흠집이 적은 것
손으로 만졌을 때 입을 닫는 것 (신선한 조개는 반응함)

(2) 보관법

  • 냉장 보관 (1~2일 보관 가능)
    • 젖은 천이나 신문지로 덮어 0~5℃ 냉장 보관
  • 냉동 보관 (장기간 보관 가능)
    • 살짝 데쳐서(찜 상태) 밀폐 용기에 담아 냉동

 

9. 피꼬막의 피는 먹어도 될까요

피꼬막의 붉은색 피는 무엇일까요?

" 피꼬막의 피는 내장의 성분"!!이라고 하네요

피꼬막이 붉은 먹이(작은 게, 새우) 위주로 먹고 있으며,

붉은 속살도 영향을 받고, 그 먹이가 분해되면서

내장과 내장의 성분도 붉은색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먹어도 무방합니다~